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양자화학
- 구글원
- 医渡云
- 통신장비주
- 자율주행
- 블록체인
- 우버
- 애플
- 양자컴퓨팅
- 5g
- Progressive Web Apps
- IBM
- 틱톡
- 페이스북
- PWA
- 아크인베스트
- 作业帮
- wsj
- 훠화시웨이
- 비트코인
- 디디추싱
- 알리바바
- 스포티파이
- 핀테크
- 구글
- ondemend
- VR
- 텐센트
- Rapyd
- 마이크로소프트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73)
QIAN
일반 도메인 : Centralized DNS systems are not encrypted or have weak encryption, meaning the DNS Server and everyone else on the route i.e. governments, spies, hackers, etc know what website you are requesting to visit, etc. Also, a government or authority could for instance direct that Internet Service Providers in a certain country stop directing domain traffic to a particular IP address, which con..
이 둘의 구분은, 이자가 순수 블록체인에서 발생하는지에 따라 구분됩니다. 보통 혼용해서 쓰기도 하는데 예치 상품은 스테이킹과 비슷한 개념으로 주식형 펀드처럼 다른 가상 화폐에 투자해서 수익을 돌려주는 것입니다. 예치 상품의 이자는 예치 서비스 사업자가 대차 혹은 차익 거래를 통해 이자를 충당하는 반면 스테이킹 이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고객이 암호화폐를 맡긴 대가로 지급하는 것입니다. POS 지분 증명은 참여자가 코인을 동결하고(자신의 “지분”), 프로토콜이 특정 간격에 따라 다음 블록을 검증할 이를 임의로 선정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선택될 확률은 코인의 비율과 관련되는데, 더 많은 코인을 동결할 수록 확률은 더 높아집니다
다오란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미션 수행을 위해 자산을 관리하는 유동적인 온라인 공동체이다. 다오의 조직 기반은 회사의 정관대신 공개된 장부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코드이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용이한 사용자 접근, 투명성, 탈퇴 권리등을 제공한다. 다오의 토큰으로 1)투표 권한을 결정하고 2)조직 자금을 우선순위에 따라 분배하며 3)공동체 참여 유도 4)반사회적 행위를 막는다. 웹3.0 세계의 노동 시장 웹3.0 세계의 노동 시장은 어떻게 변할까?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발견하면 자유롭게 기여하기 시작하면 된다. 파트타임, 풀타임 모두 가능하고 눈에 띠는 기여자일수록 다오 또는 다오와 협업하는 중앙화된 사업체에게 고용될 것이다. 웹3.0이 혁신적인 이유는 이러한 모임이 공간의 제..

12/19 1. 이더리움은 가스라는 시스템을 왜 도입했을까? 이더리움의 가장 대표적인 기능은 스마트 콘트랙트인데 한마디로 비트코인에 코딩이 가능해진 것이다. 코딩을 해봤다면 while 함수를 들어봤을텐데 실수로 코드를 잘못짜서 돌아가게 되면 엄청난 오류가 발생한다. 그나마 중앙화된 존재가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하고 새로 시작할 수 있다. 그래서 Dos 공격에도 노출될 수 있다. Dos 공격은 의도적으로 스마트 계약이 영원히 실행되도록 하는 공격하는 것을 말한다. 공격을 당할 경우 세계 컴퓨터를 지향하는 이더리움이 세계 자원을 남용하게 될 수 있다. 이더리움처럼 퍼블릭 블록체인 즉, 전세계의 컴퓨터가 되려면 프로그램이 스스로 제어하고 종료할 수 있어야한다. 그래서 이더리움에 가스라는 개념을 도..

스택스 레이어 개념 레이어 1 블록체인은 주권 시스템으로 시스템이 다른 어떤 것도 없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은 주권 L1 블록체인입니다. 레이어 2 블록체인은 그 자체로 존재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라이트닝(L2)은 비트코인 L1 블록체인 없이는 존재할 수 없습니다. -> 스택은 비트코인 없이는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L1이 아닙니다. 진정한 L2의 정의는 L2 레이어가 기본 L1의 보안으로부터 100% 혜택을 받는 곳이며, 또한 L2가 실제로 L1의 프로그래밍 능력 내에 완전히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L2는 L1을 확장할 수 있지만 완전히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비트코인 기본 기능인 '결제'의 속도를 개선시킨 ..
코인 :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메인넷)를 소유한 경우 코인으로 부른다. 예를 들면,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퀀텀(QTUM), 스팀(STEEM), 넴(NEM) 등을 들 수 있다. 토큰 :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소유하지 않은 경우 토큰으로 부른다. 예를 들면, 이오스(EOS), 트론(TRX) 등을 들 수 있다. 조금 더 쉽게 설명하자면 이더리움 네트워크 블록체인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비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DAPP은 구글 마켓에서 다운 받을 수 있는 APP에 비유할 수 있다. 토큰은 이 APP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비유할 수 있다.
넥슨 아메리카, 비트코인·이더리움으로 게임 아이템 구매 지원 넥슨 미국법인인 넥슨 아메리카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를 이용해 게임 내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15일 업계에 따르면 넥슨 아메리카는 지난 14일 게임 내 아이템을 가상 www.asiatoday.co.kr 확실히 가상화폐 친화적인 국가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계속 시작되고 있다. 작년에만 해도 넥슨이 비트코인을 매집하자마자 떡락했지만, 본격적으로 비트코인을 모으려는 모양이다. 우리나라는 뭐 가상화폐를 사도 할 수 있는게 없어서 그만큼 관심도도 낮고 이해도도 낮은 것 같다. 규제를 조금만 더 풀어주면 오징어 게임 같은 참신한 한국식 아이디어가 더 많이 나올 것 같은데 아쉽다.
곧 정부 코인(Govcoin)이 나온다 각국의 중앙은행은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CBDC는 사실상 정부와 중앙은행에 금융시장의 독점 권한을 쥐여주는 수단이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지는 “거브(gov)코인은 금융 권력을 개인에서 국가로 옮겨, 자산 배분 방식을 통째로 바꿔버릴 수 있다”라고 했다. 만약 내가 언제 술을 마셨고, 누구와 거래했는지 중앙은행이 속속들이 다 알게 된다면 어떨까? 기술의 발전 덕분에 개인의 주권이 어느 때보다 보장받을 수 있는 세상이 왔지만, 오히려 정부는 CBDC라는 무기를 개발해 흐름을 역행하려는 셈이다. 다행히도 지금 우리에겐 비트코인이 있다. 그 어떤 권력도 조종하거나 없앨 수 없으며 약간의 비용만 들이면 참여자 스스로가 직접 은행의 역할을 ..
1. 온체인 지갑 - BTC - 하드웨어 지갑 ex) trezor = 오프라인 금고 - 온라인 지갑 ex) blue wallet = 카카오페이 or CBDC 같은 디지털 현금 2. 오프체인 지갑 - LN + 비트코인을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지갑으로 옮겨야 라이트닝 네트워크 디앱을 사용할 수 있음 - blue wallet 아래는 라이트닝 네트워크 기반 디앱 https://bluewallet.io/marketplace/ silent.link Get global 5G data roaming plan, UK +44 SMS/burner number with eSIM, NO KYC bluewallet.io - wallet of satoshi 가상화폐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 - 지갑의 모든것 가상화폐 안전하게..